Day 18 | VLANs (Part 3) (CCNA 공부 18일차)
네트워크/CCNA 2024. 12. 14. 00:28이 글은 Jeremy’s IT Lab의 유튜브 CCNA 200-301 과정을 참고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https://www.youtube.com/playlist?list=PLxbwE86jKRgMpuZuLBivzlM8s2Dk5lXBQ
Free CCNA 200-301 | Complete Course 2024
A free and complete CCNA course covering everything you need to pass the latest version of the CCNA exam (exam code 200-301). There's no better way to start ...
www.youtube.com
이번 글에서 다룰 내용들
정답: b, c
b는 하위 인터페이스에서 encapsualtion dot1q native 명령을 사용한다. 이는 라우터에서 기본 VLAN을 구성하기 위한 하나의 옵션
c는 하위 인터페이스가 아닌 물리적 인터페이스에서 IP주소를 간단히 구성하는 명령어 이 경우 encapsualtion dot1q 명령이 필요하지 않음.
정답: a, d
SVI가 up/up 상태가 되려면 스위치에 VLAN이 있어야 하며 up/up 상태인 VLAN에 액세스 인터페이스가 있거나 다음을 허용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가 있어야한다. switchport mode trunk 또는 switchport access vlan 명령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.
정답: a
no swtichport → 인터페이스가 라우팅된 포트로 구성되고 인터페이스에서 IP 주소를 구성할 수 있다.
c는 스위치에서 IP 라우팅을 활성화하는데 사용되지만 개별 인터페이스를 라우팅 포트로 설정하지는 않는다.
정답: b
switchport mode trunk native vlan 44 명령을 실행했기 때문에 기본 VLAN의 트래픽은 트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될 때 태그가 지정되지 않는다. 따라서 VLAN 44 트래픽에는 태그가 지정되지 않을 것이다.
Day 21 | Spanning Tree Protocol (Part 2) (CCNA 공부 21일차) (0) | 2024.12.14 |
---|---|
Day 20 | Spanning Tree Protocol (Part 1) (CCNA 공부 20일차) (0) | 2024.12.14 |
Day 17 | VLANs (Part 2) (CCNA 공부 17일차) (0) | 2024.12.14 |
Day 16 | VLANs (Part 1) (CCNA 공부 16일차) (0) | 2024.12.14 |
Day 15 | Subnetting (Part 3 - VLSM) (CCNA 공부 15일차) (0) | 2024.12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