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ay 21 | Spanning Tree Protocol (Part 2) (CCNA 공부 21일차)
네트워크/CCNA 2024. 12. 14. 00:28이 글은 Jeremy’s IT Lab의 유튜브 CCNA 200-301 과정을 참고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https://www.youtube.com/playlist?list=PLxbwE86jKRgMpuZuLBivzlM8s2Dk5lXBQ
Free CCNA 200-301 | Complete Course 2024
A free and complete CCNA course covering everything you need to pass the latest version of the CCNA exam (exam code 200-301). There's no better way to start ...
www.youtube.com
1부에서는 스패닝 트리의 기본 목적과 스패닝 트리 토폴로지를 계산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음. 2부에서는 스패닝 트리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다.
다룰 내용들
정답: a, c
a - portfast는 스위치포트가 Listening 및 Learning 스패닝 트리 상태를 우회하고 즉시 전달 상태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.
c - 순방향 지연 타이머는 listening 및 learning 상태의 지속 시간을 결정한다.
정답: c
포트 ID의 앞부분인 16진수 80이 STP 포트 우선순위이다. 16진수 80은 10진수 128과 같다.
정답: d
BPDU가드는 인터페이스에서 BPDU가 수신되면 잠재적인 루프를 방지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종료한다. 최종 호스트에 연결된 portfast 지원 스위치 포트에서 활성화되어야한다.
정답: d
Switch A의 모든 액세스 포트는 Portfast를 사용한다. 이는 액세스 레이어 스위치 포트에 연결된 호스트에 대한 더 빠른 연결을 지원한다. PortFast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스위치 포트는 전달 상태로 들어가기 전에 STP listening 및 learning 상태를 통해 전환된다. 기본 타이머를 사용하는 경우 이 프로세스는 30초 정도 걸릴 수 있다. 또한, 포트 집계 프로토콜이 활성화된 경우 포트 초기화에는 최대 50초가 걸릴 수 있다.
Day 23 | EtherChannel (CCNA 공부 23일차) (0) | 2024.12.14 |
---|---|
Day 22 | Rapid Spanning Tree Protocol (CCNA 공부 22일차) (1) | 2024.12.14 |
Day 20 | Spanning Tree Protocol (Part 1) (CCNA 공부 20일차) (0) | 2024.12.14 |
Day 18 | VLANs (Part 3) (CCNA 공부 18일차) (0) | 2024.12.14 |
Day 17 | VLANs (Part 2) (CCNA 공부 17일차) (0) | 2024.12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