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Network/시스코 보안 아카데미 1기

[시스코 보안 아카데미 1기] 교육 18일차 정리 (Inter-VLAN)

by netron 2024. 12. 17.

Inter-VLAN Routing Opertation

  • 라우터에서
int fa0/0.10 # fa0/0에 10번이라는 가상의 인터페이스 생성 (보통 vlan 번호랑 맞추는게 보기 편함) 
encapsulation dot1q 
ip add 203.230.7.1 255.255.255.0 

인터-VLAN 라우팅 운영

설명: 인터-VLAN 라우팅은 서로 다른 VLAN 간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라우터 또는 레이어 3 스위치를 사용하여 전달하는 과정입니다. 이를 달성하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.

  1. 전통적인 라우팅:
    • 각 VLAN에 대해 별도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.
    • 간단하지만 많은 VLAN을 가진 환경에서는 확장성이 떨어진다.
  2. Router-on-a-Stick:
    • 라우터의 단일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각 VLAN에 대해 서브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.
    • 여러 VLAN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방법이다.
  3. 레이어 3 스위치:
    • 스위치 자체에서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.
    • 대량의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고속 인터-VLAN 라우팅을 제공한다.

Router-on-a-Stick 인터-VLAN 라우팅

설명: 이 방법에서는 라우터의 단일 인터페이스를 여러 서브인터페이스로 나누어 각 VLAN에 대해 구성한다. 이 설정에는 스위치와 라우터 간의 트렁크 링크가 필요하다.

구성 단계:

  1. 스위치 구성:
    • VLAN 생성:
      •  
      • Switch(config)# vlan 10 Switch(config-vlan)# name VLAN_10 Switch(config-vlan)# exit Switch(config)# vlan 20 Switch(config-vlan)# name VLAN_20 Switch(config-vlan)# exit
    •  
    • 포트에 VLAN 할당:
      • Switch(config)# interface fastEthernet 0/1
        Switch(config-if)# switchport mode access
        Switch(config-if)# switchport access vlan 10
        Switch(config-if)# exit
        Switch(config)# interface fastEthernet 0/2
        Switch(config-if)# switchport mode access
        Switch(config-if)# switchport access vlan 20
        Switch(config-if)# exit
        
    •  
    • 트렁크 링크 구성:
      • Switch(config)# interface fastEthernet 0/3
        Switch(config-if)# switchport mode trunk
        Switch(config-if)#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
        Switch(config-if)# exit
        
  2. 라우터 구성:
    • 각 VLAN에 대한 서브인터페이스 활성화:
      • Router(config)# interface gigabitEthernet 0/0.10
        Router(config-subif)# encapsulation dot1q 10
        Router(config-subif)# ip address 203.230.7.1 255.255.255.0
        Router(config-subif)# exit
        Router(config)# interface gigabitEthernet 0/0.20
        Router(config-subif)# encapsulation dot1q 20
        Router(config-subif)# ip address 203.230.8.1 255.255.255.0
        Router(config-subif)# exit
        

레이어 3 스위치를 사용하는 인터-VLAN 라우팅

설명: 레이어 3 스위치는 내부적으로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여 외부 라우터 없이 고속 인터-VLAN 라우팅을 가능하게 한다.

구성 단계:

  1. 스위치에서 IP 라우팅 활성화:
    • Switch(config)# ip routing
      
  2. VLAN 생성 및 포트 할당 (위의 스위치 구성과 유사).
  3. 각 VLAN에 대한 SVI(Switched Virtual Interface) 생성:
    • Switch(config)# interface vlan 10
      Switch(config-if)# ip address 203.230.7.1 255.255.255.0
      Switch(config-if)# no shutdown
      Switch(config-if)# exit
      Switch(config)# interface vlan 20
      Switch(config-if)# ip address 203.230.8.1 255.255.255.0
      Switch(config-if)# no shutdown
      Switch(config-if)# exit
      

인터-VLAN 라우팅 문제 해결

설명: 인터-VLAN 라우팅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구성 확인, 연결 상태 점검 및 VLAN 간의 통신을 방해하는 문제를 진단하는 것을 포함.

일반적인 문제와 해결책:

  1. 잘못된 VLAN 할당:
    • 포트 할당 및 VLAN 멤버십을 확인한다.
  2. 트렁크 링크 문제:
    • 트렁크 링크가 제대로 구성되고 작동하는지 확인한다.
  3. 라우팅 구성 문제:
    • 서브인터페이스 또는 SVI가 올바른 IP 주소와 캡슐화로 구성되었는지 확인한다 .
  4. IP 라우팅 문제:
    • 레이어 3 스위치에서 IP 라우팅이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한다 .
    •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여 다른 VLAN으로의 경로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.
  5. 연결 테스트:
    • ping 및 traceroute를 사용하여 VLAN 간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.
    • ARP 테이블을 확인하여 올바른 IP-MAC 주소 매핑을 확인한다 .

요약

이러한 인터-VLAN 라우팅 방법을 이해하고 구성하면 네트워크 관리자는 네트워크 내의 서로 다른 VLAN 간의 효율적인 통신을 보장할 수 있음. 이는 VLAN, 트렁크 링크 및 라우터 또는 레이어 3 스위치에서 라우팅 기능을 구성하는 것과 일반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.

실습

 

Router로 Inter VLAN 실습

OSPF - EIGRP 재분배

L3 Switch로 Inter VLAN 실습

L3 라우팅 테이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