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ay 1 | Network Devices | Packet Tracer Introduction (CCNA 공부 1일차)
네트워크/CCNA 2024. 12. 13. 03:46이 글은 Jeremy’s IT Lab의 유튜브 CCNA 200-301 과정을 참고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PC1: 클라이언트
PC2: 서버
컴퓨터의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해 유튜브 서버에 도달함.
동일한 장치가 어떤 상황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어떤 상황에서는 서버가 될 수 있음.
스위치를 라우터에 연결한 다음 라우터를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음.
정답: c
A인 라우터의 경우는 PC와 같은 많은 호스트를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간에 트래픽을 전달하도록 설계되었음. B인 방화벽의 경우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필터링. D 서버의 경우 다른 최종 호스트를 연결하는 네트워킹 장치가 아니라 최종 호스트 자체임.
정답: a
내 iphone의 경우 클라이언트이며 친구의 경우 서버임.
정답: c
이 동영상을 볼때 클라이언트 역할을 한다. 내 장치는 최종 소트긴하지만 기능을 설명하지는 않기때문에 b는 아니다.
정답: d
정답: c
호스트 기반 방화벽은 컴퓨터의 방화벽처럼 최종 호스트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이다. b와 d는 실제 방화벽 유형이 아님.
패킷 트레이서 실습 프로그램으로 위의 이미지를 구현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.
Day 5 | Ethernet LAN Switching (Part 1) (CCNA 공부 5일차) (1) | 2024.12.13 |
---|---|
Day 4 | Intro to the CLI | Basic Device Security | Lab (CCNA 공부 4일차) (1) | 2024.12.13 |
Day 3 | OSI Model & TCP/IP Suite | OSI Model | Lab (CCNA 공부 3일차) (0) | 2024.12.13 |
Day 2 | Interfaces and Cables | Connecting Devices | Lab (CCNA 공부 2일차) (5) | 2024.12.13 |
Network/CCNA 카테고리 설명 (1) | 2024.12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