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ay 3 | OSI Model & TCP/IP Suite | OSI Model | Lab (CCNA 공부 3일차)
네트워크/CCNA 2024. 12. 13. 03:50이 글은 Jeremy’s IT Lab의 유튜브 CCNA 200-301 과정을 참고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위 3개 계층을 개발하는 것은 개발자의 일이다.
OSI Model과 마찬가지로 개념적 모델이자 통신 프로토콜 집합이며 TCP/IP의 경우 인터넷 및 기타 네트워크에서 사용
정답: b
a의 경우 인접 계층 상호 작용은 OSI 모델의 서로 다른 계층 간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. 이 경우 YouTube의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는 모두 레이어 HTTP를 사용하는 7. c와 d의 경우 캡슐화와 캡슐화 해제가 여러번 발생했음은 분명하지만 YouTube와 브라우저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설명은 아님.
정답: c
정답: a
정답: d
정답: c
G: 기가비트 이더넷(초당 1기가비트), F: Fast 이더넷(초당 100mb)
STP: 레이어2 프로토콜
OSPF: 레이어3 프로토콜로 다양한 네트워크에 대한 최상의 경로를 찾는데 사용된다.
PC1은 DHCP(레이어 7 프로토콜)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해 IP 주소를 자동으로 수신
Day 5 | Ethernet LAN Switching (Part 1) (CCNA 공부 5일차) (1) | 2024.12.13 |
---|---|
Day 4 | Intro to the CLI | Basic Device Security | Lab (CCNA 공부 4일차) (1) | 2024.12.13 |
Day 2 | Interfaces and Cables | Connecting Devices | Lab (CCNA 공부 2일차) (5) | 2024.12.13 |
Day 1 | Network Devices | Packet Tracer Introduction (CCNA 공부 1일차) (0) | 2024.12.13 |
Network/CCNA 카테고리 설명 (1) | 2024.12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