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ay 9 | Switch Interfaces (CCNA 공부 9일차)
네트워크/CCNA 2024. 12. 13. 03:56
이 글은 Jeremy’s IT Lab의 유튜브 CCNA 200-301 과정을 참고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https://www.youtube.com/playlist?list=PLxbwE86jKRgMpuZuLBivzlM8s2Dk5lXBQ
Free CCNA 200-301 | Complete Course 2024
A free and complete CCNA course covering everything you need to pass the latest version of the CCNA exam (exam code 200-301). There's no better way to start ...
www.youtube.com
정답: b
반이중 측에서는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다. 그런데 전이중 측에서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반이중 측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도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충돌이 발생한다.
정답: a
CSMA/CD는 충돌 감지 기능이 있는 캐리어 감지 다중 액세스를 나타냄. 반이중을 사용하는 장치가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활동을 수신한 다음 다른 장치가 전송하지 않을 때만 데이터를 보내는 방법. 또한, 충돌이 발생할 때 장치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설명
CSMA/CA는 충돌 방지 기능이 있는 반송파 감지 다중 액세스
정답: a
정답: d
b와c의 이름은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제 오류가 아님. a의 브로드캐스트는 오류가 아니며 정상적인 네트워크 작업의 일부
정답: b
원격 장치에서 자동 협상이 비활성화 되어있지만 로컬 장치에서는 활성화된 경우 로컬 장치는 원격 장치가 사용하는 속도를 감지하려고 시도하므로 SW1은 인터페이스 속도를 SW2와 일치하도록 초당 100MB로 올바르게 설정할 수 있다. 그러나 SW2 인터페이스의 duplex mode를 감지할 수 없으므로 속도가 초당 10MB 또는 100MB인 경우 반이중을 사용하고 그렇지 않으면 전이중을 사용하는 것이 규칙이므로 이 경우 반이중이 사용된다. 이로 인해 두 장치간의 이중 불일치가 발생하고 충돌이 발생해 둘 사이의 링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.
Day 11 | (Part 1) | Routing Fundamentals (CCNA 공부 11일차) (1) | 2024.12.13 |
---|---|
Day 10 | IPv4 Header (CCNA 공부 10일차) (0) | 2024.12.13 |
Day 8 | IPv4 Addressing (Part 2) (CCNA 공부 8일차) (0) | 2024.12.13 |
Day 7 | IPv4 Addressing (Part 1) (CCNA 공부 7일차) (0) | 2024.12.13 |
Day 6 | Ethernet LAN Switching (Part 2) (CCNA 공부 6일차) (2) | 2024.12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