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] 을 읽고 작성한 글입니다.
3. 1 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, 브로드캐스트, 애니캐스트
출발지에서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통신 방식
- 유니캐스트
- 1:1 통신
- 브로드캐스트
- 1:모든 통신
-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호스트가 목적지
- 멀티캐스트
- 1:그룹 통신 (멀티캐스트 구독 호스트)
- 하나의 출발지에서 다수의 특정 목적지로 데이터 전송
- 애니캐스트
- 1:1 통신 (목적지는 동일 그룹 내의 1개 호스트)
- 다수의 동일 그룹 중 가장 가까운 호스트에서 응답
- IPv4에서는 일부 기능 구현, IPv6는 모두 구현 가능
애니캐스트는 애니캐스트 주소가 같은 호스트들 중에서 가장 가깝러나 가장 효율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호스트와 통신하는 방식. 이런 애니캐스트 게이트웨이 성질을 이용해 가장 가까운 DNS 서버를 찾을 때 사용하거나 가장 가까운 게이트웨이를 찾는 애니캐스트 게이트웨이 기능에 사용하기도 한다.
3. 2 MAC 주소
2계층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.
3.2.1 MAC 주소 체계
- 48비트의 16진수 12자리로 표현된다.
- 48비트의 MAC 주소는 24비트/24비트로 나누어 구분한다.
- 앞의 24비트는 제조사 코드인 OUI, 뒤 24비트는 각 제조사에서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할당하는 부분으로 UAA라고 한다.
3.2.2 MAC 주소 동작
- NIC은 자신의 MAC 주소를 가지고 있고 전기 신호가 들어오면 2계층에서 데이터 형태(패킷)로 변환해 도착지 MAC 주소를 확인한다.
- 만약 도착지 MAC 주소가 자신이 갖고 있는 MAC 주소와 다르면 패킷을 폐기한다.
-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자신이거나 브로드캐스트, 멀티캐스트와 같은 그룹 주소면 처리해야 할 주소로 인지해 패킷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 넘겨준다.
-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NIC 자체적으로 패킷을 처리하지 않고 OS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해 시스템 부하가 작용한다.
- 브로드캐스트 스톰의 경우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단말이 브로드캐스트를 처리하느랴 CPU 사용량이 증가한다.
'Network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CP와 UDP, 3-Way Handshake (0) | 2025.05.08 |
---|---|
IP주소, 서브네팅, 공인 IP, 사설 IP (1) | 2025.05.07 |
네트워크 연결과 구성 요소 (0) | 2025.05.01 |
네트워크 구성도, OSI 7 Layer (1) | 2025.04.30 |
SSH vs SSL, STelnet vs Telnets (0) | 2025.04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