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IP, EIGRP, OSPF 비교 &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

네트워크/L3 2025. 3. 11. 23:00

RIP

  • Distance Vector
  • 15홉 제한 때문에 확장성 부족.
  • Update를 던질 때 Hop 카운트 증가
  • 대역폭을 많이 잡아먹음(주기적 업데이트 때문에).

EIGRP

  • Distance Vector지만 Link State의 장점을 사용
  • DUAL 알고리즘 사용
  • 패킷타입은 Hello, Update, Query, Reply, Ack가 있음
    • Hello를 제외하고 모두 Ack를 줘야함
  • 100홉 제한
  • 32Bits EIGRP(AS#) 
    • k1 = k3 = 1
  • 64Bits EIGRP(Named)
    • k6가 0인경우 32bits와 호환가능
    • Delay 값을 pico 단위까지 가능
    • k1 = k3 = 1
  • EIGRP Poisoning
    • 라우터가 특정경로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알릴 때 해당 경로의 메트릭을 무한대 값으로 설정해 이웃 Neighbor에게 전파
  • SIA(Stuck in Active)
    • EIGRP가 가진 고질적인 문제 
    • Query 응답이 지연돼 경로 재계산이 멈춘 상태

OSPF

  • Link State, Area - Area 사이에는 Distance Vector로 동작
  • SPF 알고리즘을 통해 Tree 구조를 만듬(Loop 방지)
  • 패킷타입
    • Hello: 이웃 발견 및 관계 유지
    • Database Description (DBD):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 요약 교환
    • Link State Request (LSR): 특정 링크 상태 정보 요청
    • Link State Update (LSU): 링크 상태 정보(LSA) 전송
    • Link State Acknowledgment: LSU 수신 확인
  • LSA 타입
    • Type 1: 라우터의 링크와 상태 - (범위: Area 내)
    • Type 2: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정보(DR 생성) - (범위: Area 내)
    • Type 3: 다른 Area의 네트워크 요약 - (범위: Area 간)
    • Type 4: ASBR(외부 경로 주입 라우터) 위치 -  (범위: Area 간)
    • Type 5: 외부 네트워크 경로 - (범위: AS 전체)
    • Type 7: NSSA에서 외부 경로(5번 변형) - (범위: NSSA Area 내)
 
 

'네트워크 > L3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란?, PAT  (0) 2025.05.13
다이나믹 라우팅(Dynamic Routing)  (0) 2025.05.11
경로 지정 - 라우팅/스위칭  (0) 2025.05.10
라우터의 동작 방식, 역할  (0) 2025.05.09